외부 특강과 세미나
외부 특강과 세미나

8월에는 대전에 있는 메이아이(주) 초청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지능'에 대해 특강을 진행하고, 현업에서 인공 지능의 활용 방법과 미래 대응 방안에 관한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현업에서는 아직까지 인공지능을 도구라는 개념으로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했고, 그런 이유때문인지 인공지능에게 정확한 prompt를 주고 정확한 결과물을 얻기 위한 방안에 대해 실험 중인 듯 하였습니다.

하지만 몇 번의 세미나에 참석하여 전문가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현상을 관찰한 결과, 인공지능을 도구로 보는 대신, 동료 혹은 더 위대한 존재로 보고, 그 가능성의 문을 여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 석박사 연구 주제 (리나몬드의 논문 원데이 클라스)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어서도, 인공지능을 동료로 활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었습니다. 단순한 도구 이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 더 익숙해 질 필요성을 느낍니다.



나는 공간디자인학과 박사과정학생이야. 너를 연구동료로 지정할께. 나랑 연구 주제를 정하는 게 목표야. 내가 관심있는 연구키워드 3개는 초기 컨셉 도출, 생성형 인공지능, 오픈 포커스야. 연구주제를 정하기 전에 이 세 가지 키워드를 나에게 설명해봐. 

 

 좋아. 이 세가지 키워드를 이용해서 연구주제 5개를 아이디에이션해봐. 내가 사용할 방법론은 Grounded Theory 라는 것을 참고해줘.

 

2번이 마음에 든다. 이 주제와 관련한 세부주제 5개를 아이디에이션해줘 

 

5번이 마음에 든다. 이 연구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연구 계획서를 같이 작성해보자.

#연구계획서 포맷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가능한 연구 방법론

4. 가능한 연구 변수

5. 예상되는 결론

6. 시사점(학술적/실무적)

 

이 연구를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읽어보면 좋을 연구 3개를 찾아줘. IF가 높은 저널에서 찾아줘.

 

이 논문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려고 해. 내가 제시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Research Gap을 파악해줘.

 

 

 

작성일: 2025-08-29 | 카테고리: CV_Portfolio | 방문자수: 154
의견 혹은 질문을 남겨주세요. (0)

아직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