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치 스토리가 아니라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브런치 스토리가 아니라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2025년 2월 5일

아침 글쓰기, 사적인 기록과 공적인 글쓰기의 차이

네이버 블로그든, 카카오 브런치든, 아침마다 꾸준히 글을 올리겠다는 결심은 단순히 좋은 습관을 형성하겠다는 의도를 넘어서는, 목적 지향적인 활동의 작은 시작이라고 볼 수 있겠다.    

나는 2021년 6월부터 매일 모닝 페이지를 작성한 이후로, 하루도 빠짐없이, 최소 세 페이지(약 1,500자)의 글을 작성해왔지만, 그와는 별도로 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로 '모닝 페이지'는 나 자신을 위한 글쓰기지만, 블로그는 타인을 염두에 둔 '공적인 글쓰기'이기 때문이다.

사적인 글쓰기와 공적인 글쓰기는 다르다. 사적인 글쓰기는 내 감정과 마주하며 나에 대해 조금 더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한 글쓰기라면, 공적인 글쓰기는 독자에게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결과가 중요한 글쓰기다. 즉, 내적인 글쓰기에서는 내가 글을 쓰고, 내가 답을 하며 나의 무의식의 세계를 정리하는 과정에 글쓰기가 주요 도구로 등장한다. 하지만 공적인 글쓰기의 경우는 대게 독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위주로 글의 구조를 구성하고, 내용의 스토리를 전개하기 때문에, 글을 쓰고 고치고 하는 과정에서 메시지 전달의 명확성이라는 명확한 피드백 기준이 존재한다. 또한 명확한 피드백으로 인해, 글쓰는 저자는 글을 계속 가다듬고 더 간결하게 만드려는 의도적 노력을 하게된다. 

지금 단계에서는 이러한 의도적 노력을 통해서 보다 쉽게 명확하게 내 콘텐츠를 제공하는 능력이 필요로 하기에, 블로그 글쓰기의 시작은 어찌보면 나의 큰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작에 가깝다고 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내 블로그에서는 광고도 할 것이다. 광고를 할 것이기 때문에 독자에게 그에 걸맞는 영감도 주어야 한다.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영감을 줄 수 있는 글감으로는 1) 세상을 보는 다양한 눈을 기르는 훈련법에 관한 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2017년부터 꾸준히 해왔던 크로키에 이제는 조금씩 단련이 되어 세상에 놓여있는 사물을 보는 범, 그리고 빛과 그림자를 묶어서 보는 법, 연결되어 빛을 표현하는 법 등에 대한 나 만의 훈련법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을 것 같다. 2) 내가 개인적으로 개발 중인 앱 혹은 웹 앱의 개발 기록을 정리하는 블로그 글을 작성할 계획이다. 나는 주로 chatGPT를 이용하여 django 와 bootstrap 5 기반의, 즉 python 기반의 코딩을 주로 하고 있는 데, 이 서버 기반의 코딩에 대해서도 그 개발과정에서 맞닥뜨렸던 문제와 해결안에 대한 기록물을 작성하는 아이디어도 있다. 3) 결국은 상품을 시장에 내어놓고, 수정하고, 마케팅하고 기다리는 경험이 비즈니스인데, 이 개인 비즈니스를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 할 것으로 생각한다. 어렵지 않게 시작할 수 있도록 기록을 하고자 한다. 그래서 내가 경험한 실패와 좌절 등이 새롭게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이상 내가 공적인 글쓰기로 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를 작성해보았다.

이제부터는 공적인 글쓰기의 시작이다.

 

작성일: 2025-02-05 | 카테고리: 생각 노트 워크샵 | 방문자수: 86
의견 혹은 질문을 남겨주세요. (0)

아직 의견이 없습니다.